2013년 2월 18일 오늘은 대구지하철 화재참사 10주기입니다.
희생자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BLOG Story and Story
- 10sec infographic [10sec] 대구 지하철 참사 10주기 2014.02.18
-
- company 채널IT에 인포그래픽웍스가 소개 되었습니다. 2014.01.14
-
생방송 스마트쇼 1월 9일 방송 – 인포그래픽, 정보의 창의력을 더하다
채널IT 방송 다시보기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channelit.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7759
- 10sec infographic [10sec] 탄수화물 중독! ‘착한 탄수화물’로 극복하세요 2014.01.13
-
평균적으로 하루 동안 한국 사람이 밥으로만
섭취하는 탄수화물은 약 200g! 여기에 빵이나 과자 등을 추가로
섭취할 경우 300g이 훨씬 넘어가기도 하는데요,
영양학자들은 일일 칼로리 섭취량의 65% 정도를 탄수화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이를 훨씬 웃도는 수치인 70~75% 정도를 섭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운동부족’이 더해지면 탄수화물 과다 섭취가 되기 십상이지요.
이 같은 식습관이 반복되면 마침내 ‘탄수화물 중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이러한 탄수화물 중독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착한 탄수화물’ 식품을 소개합니다.
밀가루 음식을 줄이고, 백미 밥보다는 오곡밥을, 간식으로 초콜릿과 과자를 줄이고 포만감이 높은 고구마를 선택해 보는 건 어떨까요?:-)<탄수화물중독자가진단법>
1. 아침에 밥보다는 빵을 먹는다
2. 오후 3~4시쯤이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배고픔을 느낀다
3. 밥을 먹은 뒤에 귀찮음을 느낄 때가 있다
4. 내 주변엔 항상 초콜릿과 과자가 있다
5. 방금 밥을 먹었는데 허기가 가시지 않는다
6. 자기 전에 야식을 먹지 않으면 잠이 오지 않는다
7. 식이요법 다이어트는 3일을 넘기지 못하고 포기한다
8. 단 음식을 상상만 해도 먹고 싶어진다.위 항목 중 4개 이상이 해당된다면 탄수화물 중독을 의심해야 합니다.
- episode 2013 인포그래픽웍스 송년회 2014.01.08
-
♬
ALL NIGHT?
AL RIGHT!지난 12월 27일, 인포그래픽웍스 송년회가 있었습니다!
아기자기하게 인테리어된 서울숲 근처 조그마한 카페에서 송년회가 시작되었습니다.
여러가지 맛있는 음식과 맥주,
그리고 대표님이 가져오신 와인이 송년회의 분위기를 더 흥겹게 만들어 주었습니다.그리고 파티를 더 즐겁게 해줄 아이템!
이게 뭔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바로바로 루돌프코였어요또 하나의 즐거운 이벤트.
인포그래픽웍스에서는 작년에 이어 올해도 마니또라는 이벤트를 진행했어요.
이날은 남몰래 나를 위해준 마니또를 위해 준비한 선물 증정식이 있었습니다.대표님이 준비하신 깜짝 선물!
스마트폰장갑!이어지는 여러 가지 미니게임들로 더 즐거워지는 송년회 분위기~
즐거웠던 송년회.
2013년을 잘 마무리한 만큼,
2014년은 더 좋은 인포그래픽으로 찾아뵙겠습니다.
2014년은 더욱더 좋은 해 되시길 바랍니다.
- episode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을 통한 시민소통의 역할과 과제 발표 2014.01.07
-
지난해 11월 서울연구원에서는 한해 동안의 인포그래픽 제작을 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해서 논의 하는 세미나를 주최하였습니다.인포그래픽을 통한 시민 소통의 역할과 과제
일시 : 2013년 11월 11일(월)
장소 : 서울연구원 대회의실토론 좌장 : 백종원 서울디자인재단 대표
토론자 : 김경범 TBS교통방송 텔리비전국 부장
김현성 서울시 미디어보좌관
유창주 서울시 전 미디어 특보
이인애 경기개발연구원 정보콘텐츠부장
이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과 교수
송정수 인포그래픽웍스 대표
김상일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센터장
전승엽 연합뉴스 미디어랩 기자인포그래픽웍스 송정수대표께서는 토론 전 <공공기관의 인포그래픽 현재와 미래> 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였습니다.
김상일 서울연구원 도시정보센터장님과 전승엽 연합뉴스 미디어랩 기자께서도 발표를 해주셨구요발표가 끝난 후 백종원 서울디자인재단 대표님을 좌장으로 한해 동안의
서울연구원 인포그래픽 제작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가 진행 되었습니다.공공데이터의 적극적인 개방, 다양한 형태의 인포그래픽에 대한 고민, 정부차원에서의
투자와 적극적 지원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 졌던 의미 있는 자리 였습니다.2014년의 서울시, 서울연구원의 인포그래픽을 기대 합니다.